
제주특별자치도장애청소년직업지도센터(센터장 윤보철, 이하 센터)는 올해 도내 특수학교(급)에 재학 중인 장애청소년 72명의 진로설계와 직업교육, 현장훈련과 취업을 지원했다.
센터는 올해 고등학교 특수학급 3학년과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더그린박스, 폴개협동조합, 농업회사법인 ㈜제원하늘, 봄봄카페(제주동문점), 어우늘, 에이치 이브이 팩토리 등의 17곳의 사업체에서 5일~10일 간의 현장훈련을 진행했다.
센터 프로그램 참여학생들에게는 진로직업탐색교육, 사업체견학과 직무체험교육을 통해 직업 흥미와 직업 적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직종의 직업군을 탐색해보는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과정을 통해 고등학교 3학년과 전공과 32명의 대상자 중 4명이 취업, 17명이 진학(대학 및 특수학교 전공과)을 하였다.
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산고 3학년 학생은 초기 상담 시 실제 현장에서의 직업적 경험이 없고 기계사용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표현했다. 센터에서 현장훈련, 직무체험교육을 통해 파쇄기, 포장 기계, 고압세척기 등 다양한 도구와 기기의 사용방법을 배우고 경험하며 “해본 적이 없어서 무섭고 못 할거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해보니까 나도 할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고 전했다.
올해 처음 현장훈련에 참여했던 농업회사법인 ㈜제원하늘은 사회적약자들이 농업에 참여하여 스스로의 역량을 키워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돌봄농업을 시행하고 있는 사회적 농장이다. 사업체 대표는 “장애학생에 대한 경험이 전무하여 훈련이 가능할지 걱정을 하였으나 생각했던 것보다 직무수행을 잘했고 무엇보다 직장예절에 대한 변화가 눈에 보일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며 “훈련생이 원한다면 취업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윤보철 센터장은 “학생들이 현장훈련으로 적성에 맞는 직무 탐색의 과정을 경험하며 직업적응능력을 향상시켜 진학 및 취업 등으로 연계되었다.”며 “현장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직업준비과정에 도움을 주신 사업체 관계자들에게 감사하다”고 밝혔다.
센터는 앞으로도 도내 장애청소년의 진로 탐색을 위해 직업교육, 현장훈련 및 개인별진로설계를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제주특별자치도장애청소년직업지도센터(센터장 윤보철, 이하 센터)는 올해 도내 특수학교(급)에 재학 중인 장애청소년 72명의 진로설계와 직업교육, 현장훈련과 취업을 지원했다.
센터는 올해 고등학교 특수학급 3학년과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더그린박스, 폴개협동조합, 농업회사법인 ㈜제원하늘, 봄봄카페(제주동문점), 어우늘, 에이치 이브이 팩토리 등의 17곳의 사업체에서 5일~10일 간의 현장훈련을 진행했다.
센터 프로그램 참여학생들에게는 진로직업탐색교육, 사업체견학과 직무체험교육을 통해 직업 흥미와 직업 적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직종의 직업군을 탐색해보는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과정을 통해 고등학교 3학년과 전공과 32명의 대상자 중 4명이 취업, 17명이 진학(대학 및 특수학교 전공과)을 하였다.
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산고 3학년 학생은 초기 상담 시 실제 현장에서의 직업적 경험이 없고 기계사용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표현했다. 센터에서 현장훈련, 직무체험교육을 통해 파쇄기, 포장 기계, 고압세척기 등 다양한 도구와 기기의 사용방법을 배우고 경험하며 “해본 적이 없어서 무섭고 못 할거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해보니까 나도 할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고 전했다.
올해 처음 현장훈련에 참여했던 농업회사법인 ㈜제원하늘은 사회적약자들이 농업에 참여하여 스스로의 역량을 키워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돌봄농업을 시행하고 있는 사회적 농장이다. 사업체 대표는 “장애학생에 대한 경험이 전무하여 훈련이 가능할지 걱정을 하였으나 생각했던 것보다 직무수행을 잘했고 무엇보다 직장예절에 대한 변화가 눈에 보일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며 “훈련생이 원한다면 취업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윤보철 센터장은 “학생들이 현장훈련으로 적성에 맞는 직무 탐색의 과정을 경험하며 직업적응능력을 향상시켜 진학 및 취업 등으로 연계되었다.”며 “현장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직업준비과정에 도움을 주신 사업체 관계자들에게 감사하다”고 밝혔다.
센터는 앞으로도 도내 장애청소년의 진로 탐색을 위해 직업교육, 현장훈련 및 개인별진로설계를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